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태광그룹 계열 신생 사모펀드 운용사인 티투프라이빗에쿼티(티투 PE)가 재계와 금융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2024년 12월 설립된 이 PE 하우스는 태광산업(41%), IT 계열사 티시스(41%)가 각각 대주주로 참여하고, 이호진 회장의 장남 이현준(31세)·장녀 이현나가 각각 9%씩 출자해 자본금 100억원 중 18억원을 남매가 보유하고 있다.
이는 국내 대기업 사모펀드 중에서도 오너 일가의 직접 지분 참여 비중이 높은 편에 속한다.
티투 PE 구조와 자금 흐름…승계 자금 ‘사전 포석’ 분석
티투 PE의 수익 배분 구조를 살펴보면, 운용 성과로 발생한 현금은 법인에 축적된 뒤, 배당 등으로 오너 3세들에게 유입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티시스 지분 구도는 태광산업(46.33%), 대한화섬(31.55%), 이현준(11.3%)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즉 티투 PE의 이익이 티시스와 이현준 씨에게 직간접적으로 흘러가는 구조다.
승계 자금 창구로서 PE의 역할
국내 대기업 승계 과정에서 PE(Private Equity)가 활용되는 사례는 점차 늘고 있다. 2023년 기준, 국내 30대 그룹 중 7곳이 오너 일가가 직접 지분을 보유한 사모펀드를 통해 경영권 승계 자금을 마련한 것으로 집계됐다.
티투 PE 역시 향후 운용성과에 따라 수백억 원대의 배당 혹은 지분 가치 상승을 통해 3세 승계의 실탄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호진 회장 복권 이후…‘3세 체제’ 시동?
이호진 회장(63세)은 2023년 8월 사면 복권됐으나, 건강 문제로 경영 복귀는 미정인 상태다. 장남 이현준(31세)은 티시스, 티투 PE 등 주요 계열사 지분을 확대 중인 상황이다. 재계에서는 “경영 승계가 단기간 내 이뤄질 가능성은 낮지만, 사전 자금 마련은 필수”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국내 대기업 PE 활용 승계 사례
한화그룹은 한화자산운용 PE를 통한 3세 승계 자금을 마련, 2022년 기준 1200억원대 배당을 했다. 이 중 오너 일가가 수령한 800억원 규모의 배당금은 한화그룹 3세들의 지분 확대, 계열사 주식 매입, 상속세 재원 마련 등에 활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2022~2023년 사이 한화 오너 3세들이 주요 계열사 지분을 늘리는 과정에서 이 자금이 동원됐다는 분석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한화그룹은 국내 대기업 중 오너 일가가 PE(사모펀드)를 통해 승계 자금을 마련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면서 "한화자산운용 PE의 대규모 배당은 그룹 3세 체제 구축의 ‘실탄’ 역할을 한 동시에, 대기업 지배구조의 변화와 자본시장 내 사모펀드 활용 트렌드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된다"고 강조했다.
LS그룹도 LS PE를 통한 오너 일가 지분을 확대, 2023년 기준 900억원대 배당을 했다. 일본 미쓰비시그룹, 유럽의 롬바르드 오디에 등도 오너 일가가 직접 출자한 PE를 승계 자금 창구로 활용한 바 있다.
업계·시장 반응 및 리스크 요인
재계 관계자는 “티투 PE가 그룹 3세의 실질적 재무기반이 될 것은 명확해 보인다"면서 “신생 PE의 운용 성과와 투명성, 이해상충 리스크 관리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PE 시장의 오너 일가 직접 출자 비중은 평균 7% 내외로, 티투 PE(18%)는 업계 평균을 크게 상회한다.
티투 PE, ‘승계 실탄’이자 리스크 요인…투명성·지배구조 개선 관건
티투프라이빗에쿼티는 태광그룹 3세 승계의 핵심 자금 창구로 부상하고 있다. 운용성과에 따라 수백억 원대의 배당과 지분 가치 상승이 기대되지만, 신생 PE 하우스의 투명성·지배구조 리스크도 함께 제기된다.
향후 애경산업 등 대형 M&A 성과와 더불어, 그룹 3세 체제의 실질적 기반이 될지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