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쭐위원회] 공정위 이어 중기부도 '교촌치킨'에게 칼 뺐다…갑질논란·가격인상 '후폭풍’에 ‘비싼 치킨·나쁜 기업' 이미지 고착

  • 등록 2025.07.01 21:49:36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치킨 프랜차이즈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가 연이은 논란과 실적 부진으로 점주와 업계의 집중 포화를 받으며 소비자들에게 '비싼 치킨, 나쁜 기업' 이미지가 고착화되어 가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7월 1일, 교촌에프앤비가 협력사 유통마진을 일방적으로 0원으로 낮춘 행위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에 검찰 고발을 요청했다. 이로써 교촌은 지난해 공정위의 과징금 처분에 이어 형사 고발이라는 중대한 위기를 맞게 됐다.

 

‘마진 0원’ 일방 통보…협력사 대상 '갑질' 횡포


교촌에프앤비는 2021년 가맹점 전용 식용유를 공급하는 업체와의 계약에서 공급마진을 캔당 1350원에서 0원으로 일방적으로 인하했다. 이로 인해 협력사가 약 7억원의 손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되며, 공정위는 지난해 10월 재발방지 명령과 함께 2억83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중기부는 “교촌이 거래상 우월적 지위를 남용해 중소기업에 피해를 입혔다”며, "사회적 신뢰 회복과 중소기업 보호를 위해 엄중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교촌 측은 “가맹점주 이익 개선을 위한 조치였고, 유통업체와의 협의에 따라 진행된 계약”이라며, 공정위 처분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배민만 가능, 쿠팡이츠는 아웃’ 협약 논란…점주·소비자 반발 확산


교촌은 최근 배달의민족(배민)과의 독점 협약, 이른바 ‘배민 온리’ 전략을 추진하며 또 다른 논란에 휩싸였다. 이 협약은 쿠팡이츠 미입점 점주에게 우대 수수료와 공동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대신, 쿠팡이츠에서 교촌치킨을 철수하도록 유도하는 구조다.

 

점주들은 혜택과 플랫폼 선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쿠팡이츠에서 교촌치킨을 주문하기 불가능한 구조다.

 

이 같은 행보는 점주 뿐 아니라 소비자 선택권 제한 논란으로 번졌고, 공정위가 배타조건부 거래 및 독점규제법 위반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가격 인상·매출 하락의 악순환…‘비싼 치킨’ 이미지 고착


교촌은 2023년 최대 3000원에 달하는 업계 최대 폭의 가격 인상을 단행하며 ‘비싼 치킨’ 이미지를 굳혔다. 원가 상승과 점주 수익 보전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소비자 반발은 거셌다.

 

실제로 가격 인상 이후 교촌치킨을 ‘다른 치킨 가게로 대체한다’는 소비자가 절반 가까이(48.7%)에 달했고, ‘계속 주문한다’는 응답은 3%에 불과했다는 설문 결과도 나왔다.

 

이 여파로 교촌은 2023년 매출이 4581억원으로 역성장하며, bhc와 BBQ에 밀려 업계 3위로 내려앉았다. 공격적인 신제품 출시와 외형 확대에 집중한 경쟁사와 달리, 교촌은 기존 인기 제품 위주의 보수적 전략과 점주 우선 정책, 선제적 가격 인상 등으로 성장 동력을 잃었다는 평이다.

 

교촌치킨 가맹점주들은 교촌치킨을 상대로 차액가맹금 소송을 진행중이다. 배경으로 권원강 회장의 높은 지분율과 고배당 정책을 우선 지목하고 있다. 권 회장의 교촌에프앤비 지분율은 69.2%(1728만7554주)며, 지난 2021년 약 75억원의 배당금 중 약 52억원을 수령했다.

 

2023년에도 배당금 40억원을 받았다. 회사 수익성이 악화된 시기에 상당한 배당금을 가져가면서 오너의 사익 편취가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본업 부진에도 신사업 확장…‘위기 탈출’ 해법은 미지수


외식업계 전문가들은 “본업 경쟁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프리미엄 한식주점, 소스 사업 등 신사업 확장에 집중하는 교촌의 전략이 오히려 리스크를 키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 점주 우선 정책은 신규 출점의 발목을 잡았고, 매장 수 격차가 커지면서 규모의 경제 실현도 어려워졌다.

 

교촌치킨은 한때 ‘점주 퍼스트’와 프리미엄 이미지로 업계 1위를 지켰지만, 최근에는 갑질 논란, 가격 인상 후폭풍, 소비자·점주 반발, 경쟁사에 뒤처진 성장 전략 등 복합 위기에 직면했다.

 

유통업계 안팎에서는 “교촌의 잇단 잡음과 경영 리스크가 몰락의 전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본업 경쟁력 회복과 신뢰 회복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김희선 기자 macgufin@empas.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