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무명 'B.T.S'…국산 초소형 군집위성 1호 24일 우주로

  • 등록 2024.04.23 17:03:54
크게보기

과기정통부, 한국시간 07시 08분 57초 발사 예정
임무명은 B.T.S.(Beginning Of The Swarm, 군집의 시작)
2027년까지 11기 발사 예정...군집위성 발사·운영은 국내 최초
뉴질랜드 마히야 발사장..초소형급 지구관측용 실용위성

국내 최초의 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24일 오전 로켓랩의 발사체 일렉트론에 실려 우주로 향한다. [로켓랩]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국내 첫 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24일 오전 우주로 향한다. 군집위성은 여러 대 위성이 지구 주변의 같은 궤도를 주기적으로 돌면서 같은 지역을 하루에 여러 차례 촬영할 수 있어서 지상을 실시간 감시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시간 24일 오전 07시 08분 57초(현지시간 오전 10시 08분 경)에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미국과 뉴질랜드 우주기업인 로켓랩의 일렉트론 발사체에 초소형 군집위성 1호를 실어 우주로 발사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발사의 최종적인 성공 여부는 이날 발사 후 4시간 24분 후인 오전 11시 32분쯤 위성 교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발사를 담당하는 발사체 기업 ‘로켓랩’은 이번 임무명을 ‘B.T.S.(Beginning Of The Swarm, 군집의 시작)’로 이름 지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 스타 ‘BTS’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번 임무의 로고엔 위성을 개발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와 네온샛의 이름이 가장 크게 담겼고, 쎄트렉아이(S.I.),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의 영문명도 담겼다. 2020년 5월부터 2314억원이 투입된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

 

초소형군집위성(총11기)은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과기정통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지구관측 실용위성이다.

 

지난 4월 6일 뉴질랜드 마히야 발사장에 도착한 초소형군집위성 1호는 위성상태 점검 및 발사체 결합 등 발사를 위한 최종 점검을 완료했고, 현재는 로켓랩(RocketLab) 社의 ‘일렉트론(Electron)’ 로켓에 탑재돼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과기정통부와 KAIST는 "23일 오후 3시(현지시각 18시)에 발사관리단(단장: 과기정통부 뉴스페이스정책팀장) 종합 점검회의를 개최해 발사 준비상황 및 현지 기상조건을 점검하였고, 발사를 위한 연료 충전 등을 포함한 발사운용 절차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초소형군집위성 1호는 발사(한국시간 4.24일(수) 오전 07시08분) 후 약 50분 뒤인 한국시각 07시 58분에 로켓과 최종 분리되고, 발사 4시간24분 후(한국시간 4.24일(수) 오전 11시 32분)에는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지상국과 교신을 하게 될 예정이다.

 

초소형군집위성 1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 현지에 파견된 발사관리단과 KAIST·항우연·㈜쎄트렉아이 등 소속 연구진 10여 명은 최종 발사를 앞두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경량, 저전력, 저비용 개념으로 개발된 초소형군집위성은 2027년까지 모두 11기를 발사하여 군집 운영을 통해 고빈도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의 영상을 확보함으로써 국가안보와 재난·재해 대응에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번에 발사되는 1호는 군집 운영에 앞서 위성의 성능과 관측 영상의 품질을 확인한 후 약 3년간 500km 상공에서 해상도 약 1m급 광학 영상을 공급할 예정이다.

 

일반인들도 발사 장면을 볼 수 있다. 유튜브 ‘Rocket Rab’ 채널에서발사 30분 전, 한국시간 06:38분부터 중계를 시작한다.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총 11대의 100㎏ 미만 초소형위성이 군집운영하며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게 된다"며 "매일 3회 이상 한반도 지역 촬영이 가능하고, 동일 지점은 24시간 이내 재촬영이 가능해 기존의 중대형 단일 지구관측 위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슬 기자 newsspace77@gmail.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4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36길 6-1 , 2층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