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umbers] 노바티스, 매출 증가에도 수익성 뒷걸음질…순이익 육박 배당금·특허침해 소송·현금성자산 0원 '리스크'

  • 등록 2025.05.21 06:00:01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이종화 기자]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유병재)는 2024년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모두 감소하며 수익성은 뒷걸음질쳤다. 영업이익률도 3.7%로 하락했다. 게다가 단기차입금은 늘고 현금성자산은 여전히 0원으로 유동성 관리가 취약하다.

 

특수관계자(본사 등)와의 매입·채무 규모가 크고, 재고자산 축소와 구조조정(퇴직위로금 급감) 등으로 재무구조는 다소 개선됐으나, 그룹 의존도와 비용구조 리스크가 상존한다. 소송 등 불확실성과 신약 의존, 외화·이자율 변동 등 복합적 재무·경영 리스크가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한국노바티스의 매출은 6787억원으로 전년 6491억원 대비 4.6% 증가했다. 매출 성장세는 유지됐으나, 영업이익은 전년 294억원에서 14.7% 감소한 251억원, 당기순이익은 전년 287억원에서 8.4% 감소한 263억원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 감소는 재고와 외주용역비 등 매출원가 상승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영업외 수수료수익 등 비영업 부문의 수익이 늘면서 순이익이 영업이익을 상회했다.

 

영업이익률은 3.7%로 전년 4.5% 보다 다소 낮아졌다. 

 

이익잉여금은 1159억원으로 전년 1136억원과 거의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한국노바티스는 2024년 240억원 규모의 배당을 실시했다. 이는 전년(2023년) 130억원보다 110억원이 늘어난 수치다. 배당금 100% 모두 지배기업 Novartis Pharma AG와 최상위지배기업 Novartis AG에게 지급됐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1251억원으로 전년 1263억원 대비 0.9%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광고선전비는 150억원 (전년 122억원), 급여 437억원 (전년 445억원), 지급수수료 8.23억원 (전년 7.56억원), 퇴직위로금 25억원 (전년 64억원), 경상연구개발비 280억원 (전년 296억원)으로 파악됐다.

 

경영진에 대한 급여등 보상내역은 8.05억원으로 나타났다.

 

2024년 한 해 동안 특수관계자(주로 지배기업 Novartis Pharma AG 등)로부터의 매입 규모가 4998억원으로, 전년 5929억원 대비 약 931억원 감소했다.

 

또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무는 370억원으로 2023년 756억원에서 절반 이상 줄었다.

 

특수관계자와의 매출은 143억원(2023년 167억원)으로 전년대비 소폭 감소했다.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은 34억원(2023년 37억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부채총계는 1475억원(2023년 1851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20% 감소했다. 부채비율 전년 134.1%보다 다소 낮아진 105.1%로 나타나 재무안정성이 개선됐다.

 

유동비율은 187.8%(2023년 170.2%)이며, 유동자산이 유동부채(2024년 1418억원, 2023년 1777억원)를 크게 상회해 단기지급능력이 매우 양호하다.

 

단기차입금이 전년 대비 70억원가량 증가한 229억원(2023년 159억원)으로 나타났다.

 

영업권 등 무형자산은 전년과 동일한 3억원이다. 

 

기업 재무분석 전문가는 "특수관계자 거래는 매입·채무 중심으로 그룹 본사 의존도가 높으며, 2024년 들어 거래 규모와 채무가 모두 감소했다"며 "부채총계와 부채비율, 유동부채가 줄면서 재무구조는 한층 안정화됐다"고 분석했다.

 

 

◆ 한국노바티스의 리스크 : 법적소송과 현금성자산 0원

 

한국노바티스가 원고로서 '특허침해금지 및 예방청구' 소송이 계류중이다.

 

이 소송은 제네릭(복제약) 업체들의 오리지널 의약품 특허를 둘러싼 분쟁에서 비롯된 것으로, 결과에 따라 제네릭 출시 시점이나 시장 점유율, 손해배상 등 경영상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대법원 판결에서 ‘레볼레이드정’(면역성 혈소판감소증 치료제) 특허 분쟁에서는 한국팜비오 등 국내 제네릭사가 승소(2025년 4월)해, 노바티스는 레볼레이드정 제제특허 3건에 대한 권리범위확인 심판에서 방어에 실패했고, 한국팜비오 등 국내 제네릭사의 시장 진입이 가능해졌다.

 

또, ‘엔트레스토(사쿠비트릴·발사르탄)’ 등 주요 신약의 특허 분쟁도 진행 중이며, 1심에서 제네릭사가 승소했으나, '염·수화물특허', '결정형특허' 등 잔여 2건에 대해 노바티스가 항소해 특허법원 2심이 진행되고 있다. 만약 2심에서 판결이 뒤집힐 경우, 제네릭사의 조기 출시가 특허 침해로 재해석돼 대규모 손해배상 청구로 이어질 수 있다.

 

노바티스는 2심 패소시 대법원 상고를 예고, 2026년까지 소송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현재 10개 제네릭사(한미약품·종근당 등)가 우판권을 확보했으나, 2심 결과에 따라 2025년 하반기 제네릭 출시 여부가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과거 불법 리베이트 소송 역시 대법원에서 벌금형 등으로 마무리됐으나, 회사와 일부 임직원 유죄 판결로 평판 리스크가 지속되고 있다.

 

특이한 부분은 현금성자산이 전년과 동일하게 0원이라는 점이다. 이는 운용상 잔고가 없거나, 대부분의 자금이 단기운용 또는 결제성 계정에 배분된 결과다. 이는 실질적 유동성 부족보다는 운용 방식의 차이로 해석된다.

 

기업 재무분석 전문가는 "현금성자산이 0원이라는 것은 자금이 본사 및 그룹 계열사와의 거래 또는 단기 운용에 묶여있거나, 그룹 차원의 자금관리 정책에 따라 현금성 자산을 최소화하는 구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하지만 단기차입금(228억원) 및 유동부채(1418억원)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유동성 위기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특히 다국적 제약사의 특성상 특수관계자(본사 등) 거래 비중이 매우 높고, 현금성자산 확보 없이 그룹 자금정책에 의존하는 구조는 외부 이해관계자(투자자, 금융기관, 협력사) 입장에서 재무적 불안정성 및 독립경영 한계로 해석될 소지가 크다"고 설명했다.

 

◆ 한국노바티스의 역사와 지배구조

 

한국노바티스는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와 스위스의 Sandoz Ltd.(현 : Novartis AG)간에 체결된 1984년 5월 2일자 합작투자계약에 따라 1984년 9월 20일 설립됐다. 1986년 5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한 외국인투자기업으로 등록됐다.

 

1997년 4월 1일자로 회사의 상호를 한국산도스 주식회사에서 현재의 상호로 변경했으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Three IFC동 49층에 본사가 위치해 있다.

 

자본금은 245억원이며, 당기말 현재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보통주는 Novartis AG 17.6%, Novartis Pharma AG 82.4% 보유중이며, 우선주는 Novartis AG 33.3%, Novartis Pharma AG 66.7%를 보유하고 있다.


노바티스코리아(한국노바티스) 2025년 기준 직원수는 약 450명~500명 수준으로 집계된다. 국민연금 및 고용보험 가입 인원은 452~480명 수준이며, 내근직과 외근직 비율은 대략 1대1이다. 2024~2025년 기준 평균연봉은 6032만원(원티드), 7934만원(인크루트), 8196만원(사람인) 등으로 집계된다. 신입사원 초임연봉은 6000만원대 초중반으로 추정된다.

 

전체 직원 중 여성 직원 비율이 60%에 육박할 정도며, 여성임원의 비율은 64%수준으로, 이는 글로벌 제약사 중에서도 여성 리더십 비중이 상당히 높은 사례에 속한다.

 

◆ 노바티스의 의약품 포트폴리오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는 항암제, 면역질환, 심혈관계, 호흡기, 안과, 신경계, 희귀질환 등 다양한 치료영역에서 혁신적인 의약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항암제 분야에서는 아피니토정(에베로리무스), 보트리엔트정(파조파닙), 타시그나캡슐(닐로티닙), 자카비정(루소리티닙), 라핀나캡슐(다브라페닙), 자이카디아캡슐(세리티닙), 킴리아(티사젠렉류셀), 루타테라(루테튬 옥트레오타이드), 산도스타틴(옥트레오타이드) 등 다양한 혁신 신약을 보유하고 있다.

 

면역질환 및 자가면역질환 영역에서는 코센틱스(세쿠키누맙), 일라리스(카나키누맙)가 대표적이다. 심혈관계 및 대사질환 분야에서는 엔트레스토(사쿠비트릴/발사르탄), 디오반(발사르탄), 코디오반(발사르탄/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등이 주요 품목으로 꼽힌다.

 

호흡기질환 치료제에는 어택트라흡입용캡슐(인다카테롤/모메타손), 조터나흡입용캡슐(인다카테롤/글리코피로니움) 등이 있다. 안과질환 부문에서는 비오뷰(브롤루시주맙), 아좁트점안액(브린졸라미드), 베톱틱-에스(베탁솔롤), 비가목스(목시플록사신), 그리고 트라바탄, 듀오트라브, 파타놀 등 녹내장 및 결막염 치료제가 국내 시장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다.

 

신경계 및 정신과 치료제에는 클로자릴(클로자핀), 테그레톨(카르바마제핀), 트리렙탈(옥스카르바제핀), 에이모빅(에레누맙)이 포함된다. 희귀질환 및 유전자치료 영역에서는 졸겐스마(오나셈노진아베파르보벡), 럭스터나(보레티진 네파보벡) 등 혁신 치료제가 주목받고 있다.

 

이 밖에도 엑스자이드(데페라시록스), 써티칸(에베로리무스), 산디뮨 네오랄(사이클로스포린), 라미실(테르비나핀) 등 다양한 주요 브랜드를 통해 글로벌 제약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김혜주 기자 newsspace77@gmail.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