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이재명 정권출범과 김민규 퇴사, 신세계그룹 인사태풍 '예고'…‘정치와 경영’ 교차 속 김민규 지방선거 '출마'

  • 등록 2025.07.05 12:46:30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김혜주, 이종화 기자] 신세계그룹에서 정용진 회장의 최측근이자 그룹 내 '실세'로 통하던 김민규 부사장이 7월 4일 전격 퇴사한 가운데, 향후 신세계그룹의 인사구도와 김민규 부사장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진다.

 

신세계그룹 김민규 부사장의 전격 사퇴는 단순한 개인적 결정이 아닌, 정권 교체에 따른 대기업 인사 지형 변화의 전형적인 사례로 해석된다. 한국 사회에서 정권이 바뀔 때마다 대기업, 금융권, 공공기관 등에서 주요 임원 교체와 조직개편이 반복되는 것은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정용진 회장의 '멸공논란'등 보수적 색채가 짙었던 신세계그룹은 이재명 정권 출범 후 새 정부와의 관계를 고려한 ‘선제적 포지셔닝’으로 분석된다. 이는 과거에도 유사하게 나타난 현상으로, 기업들이 정치 환경 변화에 따라 임원을 교체하거나 조직을 재구성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이다.


새 정부의 정책 방향과 대관(對官) 환경 변화에 맞춰, 기업들은 정부와의 관계가 밀접한 임원이나 대외업무 담당자를 신속히 재배치한다. 이는 정책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대외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다.

 

이전 정권과 인연이 깊거나 정치적 색채가 뚜렷한 인물은 새 정권에서 기업의 사업 추진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진 사퇴 혹은 인위적 교체가 이뤄진다.

 

김민규 부사장은 경영지원총괄과 전략지원본부장을 겸직하다가, 올해 5월말 대선이 이뤄지기 몇일전 그룹인사를 통해 겸직이 해제되고 홍보·대관업무에 집중하는 등 이미 핵심 권한이 조정된 바 있다. 이번 사퇴는 이러한 인사 변화의 연장선상에서, 그룹 내 정치적·경영적 환경 변화에 따른 인적 쇄신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신세계그룹은 최근 몇 년간 실적 부진과 유통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표이사 40% 교체, 조직 체계 개편, 계열사 통합 등 강도 높은 쇄신 인사를 잇따라 단행해왔다. 아울러 디지털 전환과 신사업 강화, 성과 중심의 인사 원칙을 앞세우고 있다.

 

조만간 발표될 인사 개편은 이재명 정권 출범과 맞물려, 그룹의 대외관계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미래 전략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방향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정치와 경영의 경계가 모호해진 시대, 신세계그룹의 인사 변화는 한국 재계의 ‘정치-경영 교차점’이 어디에 놓여 있는지 다시 한 번 보여주고 있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김민규 부사장 스스로 지방선거 사전준비를 위해 퇴사했다"며 확대해석을 일축했다.

 

신세계그룹과 함께 유통업계 온오프라인 양대산맥인 쿠팡 역시 유사한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재계 관계자는 "이재명 대통령 당선 몇일 전 기존 쿠팡의 경영관리 부문 대표를 맡아온 강한승 대표를 쿠팡 북미지역 사업 쪽으로 돌린 것 역시 이런 맥락으로 이해한다"면서 "강한승 대표는 MB때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역임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23기)라 호형호제하는 사이이며,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도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함께 근무한 적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1년 윤석열 전 대통령은 강한승 대표의 부친인 강신옥 전 국회의원의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까지 직접 찾아 조문했다.

 

강 전 의원은 변호사 시절인 1974년 박정희 정권 유신헌법을 반대한 민청학련 사건을 비롯해 인혁당 사건,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등 현대사의 주요 인권 사건을 두루 맡았다.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을 변호하기도 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정권 변화와 함께 그룹 내 정치적·경영적 변화가 맞물리면서, 실적 개선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과감한 인적 쇄신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라며 "신세계그룹은 조만간 후속 임원 인사와 조직개편을 추가로 발표할 것으로 관측된다"고 설명했다.

김혜주 기자 macgufin@empas.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