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정부가 AI 핵심 기술정보가 새 나갈 것을 우려해 딥시크 개발자들의 여권을 압수하고 해외여행까지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3월 22일(현지시간) 미국 IT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는 지난 1월 추론모델 R1을 출시해 세계적 명성을 얻은 뒤 중국 정부의 영향을 받는 새롭고 강한 통제 조치 아래 놓이게 됐다.
딥시크 모회사인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는 허가 없이 중국을 떠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직무를 중심으로 주요 직원의 여권을 압수했다. 앞서 미국과 중국 간 AI 주도권 경쟁이 과열되자 중국 당국이 AI 개발자와 임원들에게 미국 여행을 자제하라고 권고했다는 보도도 나온 바 있다.
또한 중국 정부가 딥시크에 투자할 기업을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시진핑 지도부가 딥시크에 ‘국가의 보배’라는 호칭을 붙였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중국 정부는 3월초 열린 중국 최대 연례행사 양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및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도 딥시크를 연이어 언급하며 AI 경쟁력을 과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딥시크 등 AI 전문가들의 해외 여행을 규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미국 여행이 사실상 금지됐다고 전했다.
WSJ는 “미국이 자국 AI 핵심 인력을 억류한 뒤 무역 협상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본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중국 화웨이 회장 딸을 캐나다에서 구금하게 만들어 중국과의 협상에서 카드로 쓴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