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대한민국에서 상위 1% 부자는 자산이 어느정도일까.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 기준 상위 1% 가구의 기준선은 32억7920만원이었다. 이는 표본 가구를 순자산 상위 순으로 나열한 뒤, 각 가구의 가중치를 고려해 상위 1% 가구의 순자산을 산출한 결과다.
2021년(29억원)과 비교하면 순자산 상위 1%의 기준선은 3억7920만원 상승했다.
국내 순자산 상위 1%에 속하는 가구들은 자산 중 80% 이상은 부동산이었으며, 주식 등 직접 투자 비율이 전체 가구 평균의 2배가 넘었다.
지난해 상위 1% 안에 드는 가구의 평균 자산은 53억6882만원이었다. 이중 부동산 자산은 43억7249만원으로 전체 자산의 81.4%에 해당했다. 이는 전체 가구의 평균 부동산 자산 비중 73.7% 보다 높은 수준이다.
상위 1%의 금융 자산은 9억91만원으로 16.8%를 차지했다. 금융자산의 84.8%가 저축액(7억6376만원)이었다.
상위 1% 가구의 부채는 평균 5억1666만원으로 여유자금 운용 방법으로는 상위 1% 가구의 60.3%가 저축과 금융자산을 꼽았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은행 예금(45.8%), 주식 등 직접투자(26.5%) 순이었다.
전체 가구와 비교했을 때 상위 1%의 은행 예금은 20.8%P낮고 주식 등 직접투자는 14.9%P 높았다. 상위 1% 가구의 펀드 등 간접투자 비율(8.6%)도 전체 가구(1.7%)보다 높았다.
상위 1% 가구의 연 평균 소득은 2억1600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6400만원)의 3.4배였다. 근로소득이 9300만원으로 가장 컸고, 배당·이자 등의 재산소득(7300만원), 자영업자 등의 사업소득(4000만원) 순이었다. 특히 재산소득은 전체 가구 평균(430만원)의 17배나 됐다.
여유 자금을 굴리기 위해 금융자산에 투자할 때 선호하는 방법으로는 은행 예금(46%)이 제일 많았고, 주식 등 직접투자(27%), 펀드 등 간접투자(9%)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