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우주개발 예산 1조원 시대…차세대 발사체·초정밀 위성으로 ‘K-스페이스’ 선도

  • 등록 2025.09.01 17:41:36
크게보기

한국 우주항공청, 2026년 1.1조 예산 확대로 글로벌 경쟁 가속화
“저비용 고빈도 우주수송 꿈꾼다” 2026년 우주개발 혁신 예산 분석
누리호 성공 넘어 미래 우주산업 선도…2026년 예산안 총력 평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6년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우주청)의 예산이 1조1131억원으로 올해 대비 15% 증가하며, 본격적인 '1조원 시대'를 맞이한다.

 

이는 우주수송, 위성 통신·항법·관측, 우주탐사, 미래 항공기술, 민간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 전문 인재 양성 등 6대 핵심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으로, 정부가 국가 우주 강국 도약을 위한 명확한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예산 내용과 사업별 주요 투자 방향


우주수송: 내년 누리호 5차 발사 및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통해 기존 누리호 신뢰성을 보완하고, 장기적으로 저비용·고빈도의 우주수송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다만, 발사체 전체 체계 개발 사업비는 14.9% 감소한 2642억 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누리호 사업 예산 감소와 차세대 발사체 사업 계획 조정에 따른 결과다. 더불어, 궤도수송선 개발·실증을 위한 신규 R&D에 30억원이 배정됐다.

 

위성: 위성분야 예산은 전년 대비 11.6% 증가한 2362억원으로 중앙 초고해상도 10cm급 위성 핵심기술 개발(62억원), 2030년 발사 목표 6세대(6G) 저궤도 위성통신 개발(153억원) 등이 포함된다. 2029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도 지속 추진된다. 이는 한반도 인근을 대상으로 특화된 초정밀 위치·항법·시각 정보를 제공한다.

 

우주탐사: 예산이 올해 대비 78.2% 급증한 968억원 규모로, 특히 2단계 달 착륙선 R&D에 809억원이 집중 투입돼 2032년 달 착륙을 목표한다. 이 외에 우주 내 무인제조, 지구 재진입 기술 등 혁신 도전형 신규 R&D도 추진되어 국내 기업에 우주실증 기회를 확대할 방침이다.

 

미래 항공기술: 511억원이 투입되며, 2030년대 친환경·전기 항공기로 전환 대비 미래비행기(AAV), 민항기 엔진 핵심기술, 초경량·고강도 소재 개발에 집중한다. 성층권 드론 실증 사업도 본격 추진된다.

 

민간 지원 및 인재 양성: 뉴스페이스 펀드를 연 1000억원 규모로 확장해 우주부품, 위성서비스 등 스타트업·중견기업 실증 및 판로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우주기술 혁신 인재 양성 위한 30억원 신규 R&D와 신흥국 협력 기반 조성 사업에 21억원을 투입한다.

 

국내외 공간개발 예산과 전략 비교


2026년 우주청 예산 1.11조원(약 7.98억 달러)은 전년 대비 15% 신장하며 한국이 우주개발에 본격 투자하는 신호탄이다.

 

이를 미국 NASA의 2026년 예산(약 188억 달러, 전년 대비 약 24% 삭감)과 비교하면 규모는 작지만, 한국은 자국 기술력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시장 창출과 민간 활성화를 적극 추진한다.

 

유럽우주국(ESA)은 2026-2028년 3개년 예산으로 223억 달러(약 20.3조원)를 추구하며, 18% 증액 계획이다. 중국은 2026년부터 2035년까지 인간 달 탐사와 우주정거장 운영, 다수의 우주 과학 임무 등 야심찬 장기 계획을 추진 중이다.

 

특히 한국은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 있어 재사용 가능 로켓 추진 기술을 2035년까지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워, 글로벌 우주산업의 신속한 변화에 동참하려 한다. 이는 스페이스X의 재사용 발사체 성공에 대응해 우주 수송 시장 경쟁력을 높이려는 전략으로, 재사용 기술 개발은 향후 비용 절감과 우주 접근성 강화를 견인할 전망이다.

 

즉 2026년부터 시작되는 국내 우주항공청의 1조원대 예산은 한국이 우주 신산업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단단한 기반을 마련하는 전환점이다.

 

정부는 기술 자립, 탐사 임무 성공, 산업 생태계 확장, 인재양성에 균형 있게 투자하며 글로벌 우주 경쟁에서 한국 우주기술의 지속적 성장과 자립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는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우주 강국들과 비교할 때 아직 예산 규모면에서 차이는 있지만, 성장 추세와 전략적 투자의 방향성이 명확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김시민 기자 newsspace@naver.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