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회복 연구실] 내 마음의 빨간 경고등이 켜졌을 때

  • 등록 2025.07.23 06:00:00
크게보기

래비(LABi)의 마음 회복 연구실 ④

 

늦은 주말 오후. 아이들의 목소리와 TV 소리로부터 잠시 도망쳐 나왔다. 좋아하는 카페문을 열고, 가장 구석진 창가 자리에 앉아서 늘 마시던 디카페인 커피를 주문했다.

 

언제부터인가 숙면을 위해 내 생존 본능이 만들어 낸 작은 습관이다. 커피가 그리워 카페에 왔지만 카페인은 피하고 있는 이 아이러니 상황. 조금 우스운 듯 하지만 난 이 순간이 좋다.

 

주변을 돌아보니 많은 사람들이 진한 커피로 남은 오후를 충전하고 있다. 그들을 물끄러미 바라보다, 가방에서 충전기를 꺼냈다. 하얀 케이블을 스마트폰에 연결하자 화면에 작은 번개모양이 그려졌다.

 

기계는 참 정직하다. 방전되기 전에 미리 알려주니까. 사람의 마음은 그렇지 않다. 아니, 오히려 조용히 무너진다.

 

◆ 나를 방전시키는 것들은 아주 사소하다

 

문득 나를 방전 시키는것들에 대해 생각해 본다. 그것들은 대단한 모습을 하고 있지 않았다. 회의가 끝난 뒤 팀원의 어두웠던 표정, 작은 실수로 핀잔을 들었던 아침, 늦은 밤 아이의 가방 속에서 뒤늦게 발견했던 구겨진 안내문과 '내일 오전까지'라고 적힌 준비물을 확인하는 순간 등...

 

아이의 학부모 단체톡방에서 누군가 "체험학습 어떠셨어요?"라고 물었을 때도 그랬다. 나는 일 때문에 참여하지 못했는데, 다른 엄마들의 생생한 후기와 사진들을 보고 있자니, 워킹맘으로서 죄책감이 몰려온다.

 

내겐 아주 작은 균열들이었지만 이런 작은 균열들이 모이자, 어느새 내 마음 배터리는 빨간색 경고등을 켜고있다.

 

 ◆ '코치다움'과 '코칭다움'. 나는 가끔 그 단어들의 무게를 생각한다

 

그리고, 요즘 내 이름이 <코치>라고 불리우는 시간이 있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일. 그들의 고민과 혼란이 담긴 말들이 내 안에 들어와서 차곡차곡 쌓인다.

 

둘 만의 대화에 집중된 시간이라 그럴까. 고객에게 내 안의 공간을 온전히 내어주는 일은 상당한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나는 가끔 '코치다움'과 '코칭다움'의 단어 무게를 생각한다. 코칭다움은 기술에 가깝다. 고객과 관계를 맺고, 적극적으로 경청하며, 성장을 지원한다.


하지만 코치다움은 코치라는 사람 그 자체에 대한 이야기다. 코칭윤리를 실천하고, 전문성을 개발하며, 현재 자기자신을 정확히 인식하고 관리하는 모든 것을 말한다.


그 안에 '자기관리'라는 항목이 있다.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안정을 유지하는 것. 그렇기에 내 마음 배터리를 돌보는 일은 그러니까 일종의 나의 '자기관리'라고 볼 수 있다.

 

방전된 코치는 누구의 길도 명료하게 밝혀줄 수 없다. 고객 앞에서 중립을 지키기 어렵고, 호기심을 갖기도 힘들다. 그것은 일종의 약속위반이다.

 

◆ 충전은 나를 비우는 일이 아니라, 나를 온전히 채우는 일이다

 

충전기 끝에서 깜빡이는 작은 불빛을 바라본다. 내 마음 배터리는 지금 몇 퍼센트일까. 가늠하기도 어려운 그 숫자를 생각해본다.

 

그동안 어쩌면 나는 충전을 잘 못 이해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쉬는것이 게으름이고, 나를 돌보는 것은 이기심 같았다.

 

하지만 지금 이 카페에서 디카페인 커피를 마시며 조용히 앉아있는 이 시간이 사실은 가장 생산적인 시간일지도 모른다.

 

내일 아침 아이를 깨우고, 회사에서는 좋은 팔로워이자 리더가 되며, 코치로서 고객의 이야기에 온전히 귀 기울일 수 있는 힘은 바로 이런 사소한 순간들에서 나오니까.

 

그래서 엄마로서, 코치로서, 한사람으로서 내가 가진 모든 역할을 제대로 해내려면 먼저 나라는 그릇을 단단하게 만들고 채워야 한다.

 

폰화면에 100%가 떴다.
나도 언젠가 그럴 수 있을까.
완전 충전되어서 어떤 작은 흔들림도 두렵지 않은날이.

 

그런 날이 안와도 괜찮다.
오늘처럼 방전되기 전에 나를 먼저 돌보는 지혜만 있다면 말이다.

 

※ 칼럼니스트 ‘래비(LABi)’는 어릴 적 아이디 ‘빨래비누’에서 출발해, 사람과 조직, 관계를 조용히 탐구하는 코치이자 조직문화 전문가입니다. 20년의 실무 경험과 워킹맘으로서의 삶을 바탕으로, 상처받은 마음의 회복을 돕는 작은 연구실을 열었습니다.

김문균 기자 newsspace@naver.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