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로봇이 더 이상 공상과학 영화 속 주인공만이 아니다.
최근 베이징국제과학기술산업박람회를 비롯해 세계 각지의 박람회와 현장에서, 로봇은 우리 일상에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마사지, 피아노 연주, 미술, 스포츠 치료까지, 로봇이 할 수 있는 일의 경계가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AI와 센서로 맞춤형 마사지, '인간 손맛'을 재현하다
중국과 싱가포르의 연구진과 스타트업들은 전통 마사지 기술과 첨단 AI, 센서 기술을 결합해, 사람마다 다른 근육과 경락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맞춤형 마사지를 제공하는 로봇을 선보이고 있다.
중국 자오퉁대와 과학기술대 연구팀은 전통 중의학(TCM) 마사지 기법을 로봇에 구현했다. 이 로봇은 모션 캡처와 압력센서로 인간 마사지사의 손동작과 힘을 학습, 네 가지 주요 마사지 동작(두드리기, 진동, 주무르기, 손가락 지압 등)을 실제로 재현한다.
사용자의 체형, 근육 강도, 통증 부위에 따라 실시간으로 압력과 위치를 조절하며, 안전성과 편안함을 극대화한다.
싱가포르의 'EMMA' 로봇은 AI와 3D 비전, 센서로 근육의 뭉침 정도와 혈자리 위치를 파악해, 환자별로 최적화된 마사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미 싱가포르, 중국, 독일 등에서 임상시험과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문 마사지사 부족 문제와 고령화 사회의 만성 통증 치료에 새로운 해법이 되고 있다.
중국의 디이메드(DeyeeMed)가 개발한 'Thermal King' AI 물리치료 로봇은 뜨거운 돌, 금속 프로브, EMS(전기근육자극), 적외선 치료 등 다양한 기능을 결합해, 깊은 조직 마사지는 물론 미용과 재활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다. 조작은 태블릿 한 대로 간단히 가능해, 한 명이 여러 대의 로봇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다.

예술도 스포츠도, 로봇이 도전한다
박람회장에서는 마사지뿐 아니라 피아노 치는 로봇도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이탈리아의 '테오트로니코(Teotronico)'는 53개의 손가락을 가진 로봇 피아니스트로, 인간 연주자와의 배틀에서 속도와 정확성 면에서는 인간을 앞섰다.
하지만 음악적 표현력과 감정 전달에서는 인간 연주자의 손을 들어준 관객이 많았다. 로봇은 악보를 해석해 연주할 뿐 아니라, 관객과 대화하고 얼굴 표정까지 구현한다는 점에서 기술적 진보를 보여줬다.
또한, 박람회장 곳곳에서는 로봇이 차를 따르고, 아이스크림을 만들고, 사과를 수확하고, 초상화를 그리는 등 다양한 실생활 업무를 수행하는 모습이 펼쳐졌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운동선수의 재활과 치료를 위한 로봇이 실제 선수들에게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로봇의 진화, 어디까지 갈까?
로봇 기술은 이제 단순 반복작업을 넘어, 인간의 감각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로 진입했다. AI와 빅데이터, 정밀 센서 기술이 결합되면서, 로봇은 사용자의 신체적·감정적 특성까지 파악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안한다.
중국, 싱가포르, 유럽 등에서 다양한 로봇이 실제 의료, 복지, 예술, 스포츠 현장에 투입되며, 인간과 로봇의 협업이 빠르게 일상화되고 있다.
글로벌 로봇 전문가는 "이제 로봇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인간의 삶을 더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드는 동반자로 진화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로봇이 어디까지 할 수 있을지, 상상력의 한계에 도전하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논평했다.
우리의 일상 속으로 성큼 들어온 로봇, 로봇의 잠재능력은 당신이 무엇을 상상하던 그 이상의 일을 해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