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중갈등의 관세전쟁속에서 애플의 발빠른 대처가 주목받고 있다. 애플이 2026년부터 미국 시장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을 전량 인도에서 조달할 것으로 전해졌다.
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2026년 말까지 미국에서 매년 판매되는 6000만대 아이폰 전량을 인도에서 조달한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보도했다.
이는 인도의 아이폰 생산량은 2배로 늘리는 것을 말한다. 관세 전쟁에 애플의 시총은 7000억달러 증발한 상태다.
이 같은 애플의 전략은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 20년간 애플은 중국에 막대한 투자를 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라인을 구축해왔으나, 미중 패권경쟁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애플은 계약 제조업체인 인도의 타타 일렉트로닉스와 대만 폭스콘과 협력해 인도의 생산능력을 꾸준히 늘려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국 생산 의존도는 상당하다.
인터네셔널 데이터 코퍼레이션에 따르면, 애플 2024년 아이폰 출하량 2억3210만대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8%인 약 6480만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상품에 대해 145%라는 상호관세를 부과했으나 이후 스마트폰에 대해서는 일시적으로 유예를 한 상태다. 인도 역시 26% 상호관세를 부과받았지만 현재는 90일이라는 유예기간을 적용받은 상태이다. 이와 별개로 인도는 미국과의 양자무역협정을 통해 관세 철폐를 시도하고 있다.
애플은 5월 1일(현지시간) 1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투자자들이 이번 실적발표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애플에 미치는 영향과 애플의 대응책을 주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