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우리나라 국민은 하루에 집 밖에서 평균 10.3시간을 보내고, 이 중 2.5시간은 이동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하루 활동 시간의 24%를 이동에 쓰는 셈이다.
국토연구원은 9일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통해 본 우리 사회의 활동 시공간 특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스마트폰 앱으로 개인 모빌리티 데이터를 구축하는 스타트업 ‘위드라이브’의 지난해 3~5월 자료 분석에 따른 결과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제주, 강원, 전북, 충북, 대전은 개인의 집 밖 활동 시간이 하루 600분 이하로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반면 경기, 서울, 세종은 집 밖 활동 시간이 620분으로 길었다.
수도권 19개 신도시 거주자의 이동 거리와 체류 시간을 분석했더니 평촌, 일산, 광교, 운정 등 9개 신도시의 경우 경기도 평균보다 개인의 이동 거리가 짧고 집 밖 활동 시간이 긴 '지역외향형'인 것으로 분류됐다.
이동거리가 길고 집 밖 활동 시간도 긴 '광역외향형'에는 서울과 거리가 먼 2기 신도시인 위례, 판교, 동탄2가 포함됐다.
이동거리가 길지만 집 밖 활동 시간이 짧은 '광역내향형'은 분당, 중동, 김포한강이다.
김종학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신도시는 사회기반시설과 의료·보건시설 등이 컴팩트하게 집적돼 있다"며 "다른 지역보다 멀리 가지 않고도 편의시설을 누릴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성별로 이동시간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집 밖 활동 시간은 남성의 86%였으며, 이동거리는 남성의 50%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0·50대의 하루 평균 이동 거리는 44.5km, 20·30대는 31.4km로 비교적 짧았다.
김 연구위원은 "인구 구성 비율이 높은 40·50대의 이동거리가 가장 긴데 향후 공유인구와 생활인구 개념이 활성화되면 이 연령층을 고려한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토연구원은 축적된 모빌리티 빅데이터 자료를 적절히 분석하면 주거지, 출근지, 출장지 등 다양한 지역의 활동을 파악해 '공유인구' 개념을 도입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공유인구는 사회 인프라 시설을 공유할 수 있는 인접 지역의 인구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