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킹연구소] 임원당 직원수 증가 그룹 순위…신세계>금호아시아나>DL>롯데>현대차 順

  • 등록 2025.04.01 16:41:49
크게보기

직원 늘고 임원 줄고…대기업 실무 중심 재편 가속
30대 그룹 235개사 고용 현황 분석…지난해 직원수 1.7%↑ 임원수 0.7%↓
유통·건설업 중심 구조조정 흐름 읽혀…DL·롯데·GS 등 직원·임원 동반 하락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난해 국내 30대 그룹의 직원 수는 늘고 임원 수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와 구조조정 흐름 속에서 대기업들이 실무 중심의 인력을 확대하고,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이 큰 임원 자리는 축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1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30대 그룹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235개 계열사 고용 변화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4년 기준 임원 1인당 직원수는 전년보다 평균 2.4명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직원 수는 98만3517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한 반면, 임원 수는 9817명에서 9746명으로 0.7% 감소했다.

 

임원당 직원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그룹은 신세계였다. 지난해 직원수가 4.2%(1379명) 증가하고 임원수는 10.2%(17명) 감소한 것. 이에 따라 신세계는 임원 1인당 직원수가 197.0명에서 228.5명으로 평균 31.5명 많아져 전체 그룹 중 가장 증가폭이 컸다.

 

다음은 금호아시아나그룹으로 직원수가 1만995명에서 1만1075명으로 0.7% 증가할 때 임원수는 92명에서 80명으로 13.0% 감소, 임원 1인당 직원수가 18.9명(119.5→138.4명) 늘어났다.

 

현대자동차그룹도 임원당 직원수가 두자릿수로 증가했다. 전체 직원수가 15만9357명에서 16만2100명으로 1.7% 늘어나고 임원수는 1148명에서 1087명으로 5.3% 줄어들어 임원 1인당 직원수가 10.3명 증가했다.

 

유통과 건설업 중심의 일부 그룹은 직원수와 임원수가 모두 줄었으나, 임원 감소폭이 더 커 임원 1당 직원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업황 부진에 따른 비용 절감 목적의 구조조정 일환으로 해석된다.

 

대표적인 곳이 DL그룹이다. DL이앤씨(건설)를 보유한 DL은 전체 직원수가 3.9%(323명) 감소한 가운데, 임원수는 21.2%(25명) 줄면서 임원 1인당 직원수가 15.5명 증가했다.

 

롯데그룹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직원수(-0.1%)와 임원수(-9.6%)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나, 임원 감소폭이 커서 임원 1인당 직원수가 102.5명에서 113.2명으로 평균 10.7명 늘었다.

 

CJ그룹은 직원수가 2.1%(664명) 줄었지만 임원수는 9.2%(29명) 감소해 임원당 직원수가 7.9명 증가했다.

 

GS그룹과 중흥건설도 유사한 흐름이지만, 직원수와 임원수가 동반 하락했지만 임원 감소폭이 더욱 커서 임원 1인당 직원수는 오히려 늘어났다.

 

GS는 직원수가 0.3%(1만7210명→1만7161명) 줄어들 때 임원은 6.3%(237명→222명) 감소해 임원 1인당 평균 직원수가 4.7명 증가했다.

 

중흥건설도 직원수가 7.1% 줄고 임원수는 10.8% 줄어들어 임원 1인당 직원수가 2.4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원당 직원수가 감소한 그룹도 있다. HDC, KT, 카카오 등이 이에 해당한다.

 

HDC그룹은 직원수가 3.2%(246명) 증가했지만 임원수가 무려 51.2%(21명) 증가했다. 특히 미등기임원이 18명에서 41명으로 크게 늘어난 영향이 컸다. 이에 따라 임원 1인당 직원수가 평균 59.7명 감소했다.

 

KT는 지난해 대규모 인원 감축을 단행하며 직원수가 6.7%(2581명) 줄었지만 임원수는 8.9%(18명) 증가했다. 이로 인해 임원 1인당 직원수는 190.6명에서 163.2명으로 평균 27.3명 줄었다.

 

카카오는 직원수가 2.9%(246명) 늘었지만 임원수는 35.9%(51명)나 증가해 임원당 직원수는 14.5명 감소했다.

 

SM그룹은 직원수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임원 1인당 직원수 역시 줄어든 다소 특이한 케이스다. SM의 지난해 직원수는 1617명으로 전년(1888명)보다 14.4% 줄었고 임원수 역시 60명에서 58명으로 소폭 하락했다. 그 결과 임원당 직원수가 평균 3.6명 감소했다.

 

한편, 직원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그룹은 SK였다.

 

SK는 전체 직원수가 5만7887명에서 6만5549명으로 1년 만에 13.2%(7662명) 증가했다. 전사 차원의 운영 효율화 작업에 나서고 있는 SK는 2022년 6만7523명에서 이듬해 14% 이상 감축한 뒤, 지난해 다시 직원 규모를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SK 임원수는 959명에서 1006명으로 4.9% 증가에 그쳤으며, 등기임원은 오히려 3명 감소했다.

 

지난해 여성 직원 증가율은 2.8%로 남성(1.3%)의 두 배 이상을 기록했다. 전체 고용자 중 여성 비중이 3분의 1 수준에 그쳐, 상대적으로 적은 기준 집단에서 상승효과가 두드러진 것으로 보인다.

이종화 기자 macgufin@empas.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