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美 반도체 보조금 6.9조원 최종 확정…26% 줄어든 이유는?

  • 등록 2024.12.21 10:22:24
크게보기

삼성전자에 최대 6.9조원 반도체 보조금 지급 결정
원래 계획보다 17억달러 줄어든 47억달러
450억→370억달러로 투자 줄어 보조금 조정
투자 대비 긍정 평가…트럼프 불확실성 해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20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로부터 최대 47억4500만달러 반도체 지원금을 받기로 최종 합의했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전날 상무부로부터 4억5800만달러 지원을 확정한 바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당초 지난 4월 예비거래각서(PMT) 서명 당시 64억달러(약 9조2700억원)를 지원받기로 했지만 이번 최종 결정에서 약 26% 감액돼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투자금액 대비로는 지원 규모가 적지 않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이번 미국 상무부의 보조금 지급이 확정되면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불확실성도 덜어냈다는 분석이다.

 

20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삼성전자와 미국 텍사스인스트루먼츠(TI)가 미 반도체 생산설비를 확장하는 것에 63억달러 넘게 지원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 가운데 47억4500만달러(약 6조8780억원)는 삼성전자에 16억달러는 TI에 지급된다.

 

상무부는 이날 "이번 자금은 수년간 텍사스 중부의 기존 시설을 미국 내 최첨단 반도체 개발 및 생산을 위한 종합적 생태계로 전환하기 위해 370억달러 이상을 삼성이 투자하는 것을 지원한다"며 "여기에는 두개의 첨단 로직 팹과 R%D 팹, 그리고 기존 오스틴 시설의 확장 등이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보조금 규모가 줄었으나, 투자 규모 대비로는 상당한 수준의 보조금을 지원받는 것이란 평가가 지배적이다. 감액은 삼성전자가 당초 2030년까지 총 450억달러(64조5200억원)를 미국 반도체 시설에 투자할 계획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수요 등을 감안해 80억달러 가량 투자액을 조정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받게되는 보조금은 줄었지만 전체 투자금액 대비 보조금 비중은 약 12.8%로 다른 기업들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 앞서 상무부는 TSMC에 66억달러(9조4400억원), 인텔에 78억6600만달러(11조2500억원), 마이크론에 61억6500만달러(8조8000억원)의 보조금을 확정했고, 전날에는 SK하이닉스에 최대 4억5800만달러(약 6634억원) 보조금을 확정했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부 장관은 "삼성의 이번 투자로 미국은 공식적으로 세계 5대 첨단반도체 제조업체를 모두 보유한 지구상 유일한 국가다"며 "이것은 놀라운 성과로 인공지능(AI)과 국가안보에 필수적인 최첨단반도체의 꾸준한 국내 공급을 보장하는 동시에, 수십만개의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미 전역 지역사회를 변화시킨다"고 말했다.

 

레이얼 브레이너드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삼성전자는 “첨단 메모리와 첨단 논리 반도체 모두에서 선두를 달리는 유일한 반도체 업체”라고 평가했다.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부회장)은 "반도체법에 따른 미국 정부와의 협약은 우리가 미국에서 최첨단 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하고 투자를 지속하는 과정에서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다가오는 AI 중심 시대의 진화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미국 파트너사들과 더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조일섭 기자 newsspace77@gmail.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