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칼럼] AI 거품론 확산 속 올트먼 "일시적 역풍 올 수도" 발언…구글 제미나이3 성능 우위로 '난관 봉착'

  • 등록 2025.11.22 00:35:16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AI 산업 내 거품 가능성에 대해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명하며, 구글의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3 출시 이후 일시적인 경제적 역풍이 오픈AI에 불어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올트먼 CEO는 내부 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현재 분위기가 쉽지 않으며, 단기적 경쟁 압박 속에서도 집중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픈AI가 최고의 연구소이자 AI 인프라, 플랫폼, 제품 기업으로서 그 어려움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구글은 지난 18일 공개한 제미나이3가 글로벌 AI 모델 중 성능 1위를 달성하며, 특히 고급 과학 문제 해결 능력과 추상적 시각 추론 분야에서 GPT-5.1을 크게 앞서는 점수를 기록했다. Gemini 3 Pro는 코딩 수행 완벽 점수와 도구 없이도 높은 수학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는 등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다. 이에 대해 올트먼은 구글이 최근 훌륭한 성과를 거둔 점을 인정하면서도, "오픈AI가 장기적으로 선두 자리를 유지하길 원한다"고 밝혔다.​

 

한편, AI 투자 거품론이 미국 증시 특히 나스닥을 중심으로 확산하며, 빅테크 대형주들의 주가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 11월 들어 나스닥 지수는 AI 투자 우려로 인해 7.8% 하락했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AI 투자로 인한 빅테크 기업들의 막대한 지출이 수익 창출과 연결되지 못해 투자자들의 인내심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AI 및 데이터센터 투자 경쟁으로 인한 과도한 자본 지출이 장기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더불어, 마이크로소프트가 130억 달러 이상을 오픈AI에 투자하고 오픈AI는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인프라를 대규모 구매하는 등, 엔비디아와 오픈AI 간 투자·구매 순환 거래(circular deals) 구조가 AI 거품론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이러한 순환 거래는 기술 발전이 정체될 경우 관련 기업들의 재무 건전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실물 경제에도 파장을 불러올 위험성이 있다.

 

뉴욕타임스는 투자자들이 AI 투자 수익성 회복을 불확실하게 판단하면서, 일부 데이터센터 운영 중소기업이 파산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아울러, AI 기업들의 주가 부진은 10월 말 이후 AI 관련 기술주들이 약 2.4조 달러 규모의 시가총액을 상실하는 대규모 조정세로 나타났다.

 

이러한 거품론 확산은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며, 단기적 시장 변동성 확대와 중장기 수익 구조에 대한 불확실성을 심화시키고 있다.​

윤슬 기자 newsspace@naver.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 법률자문 : 이수동 변호사(법률사무소 이수)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