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메타는 28세의 알렉산더 왕(Alexandr Wang)을 신설된 ‘메타 슈퍼인텔리전스 랩(Meta Superintelligence Labs, MSL)’의 최고 AI 책임자(Chief AI Officer)로 영입하며, 그의 스타트업 스케일 AI(Scale AI)의 49% 지분을 143억 달러(약 19조원)에 인수하는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이후 왕은 24세에 세계 최연소 자수성가 억만장자로 주목받았으며, 그의 영입은 마크 저커버그 CEO가 오픈AI와 구글 등 글로벌 AI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한 공격적인 전략의 신호탄이다.
nytimes, Storyboard18, Reuters, People Matters, Meltstudio, wsj, Digital Watch Observatory에 따르면, 왕은 취임 이후 메타 AI 조직을 연구, 제품 개발, 인프라, 그리고 ‘TBD 랩(미정 부서)’ 등 네 개의 전문화된 그룹으로 과감하게 재편했다. 내부 메모에서 그는 “초지능이 다가오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연구, 제품, 인프라라는 핵심 분야 중심으로 조직 방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메타 내부 시스템이 AI 개발에 너무 느리다고 판단, 외부 개발 플랫폼인 Vercel, GitHub 등을 도입해 배포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빠른 AI 보조 코딩(vibe coding)’ 환경을 조성 중이다.
그러나 왕의 야심찬 AI 로드맵에도 불구하고, 메타는 2025년 8월 말 AI 부서 전반에 걸쳐 채용 동결을 선언했다. 이는 왕의 개인 승인 없이는 신규 인력을 채용할 수 없도록 한 조치로, 이전 경쟁사 출신 인재 확보를 위한 9자리 숫자 연봉 제안을 포함해 매우 공격적인 인재 영입 이후 나타난 변화다. 이 같은 채용 제한은 수백억 달러 규모 AI 데이터 센터 투자와 관련된 막대한 비용에서 비롯된 재정적 절제의 신호로 해석된다.
메타는 2026년까지 1기가와트급 AI 슈퍼클러스터 ‘프로메테우스(Prometheus)’를 가동하고 이후 5기가와트 규모로 확장 가능한 ‘하이페리온(Hyperion)’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메타는 2025년에만 660억~720억 달러의 자본 지출(Capex)을 계획 중이며, 2026년에는 이보다 더 큰 폭의 지출 증가가 예고된 상태다. 인공지능 분야 GPU 100만대 이상을 배치하는 등 AI 컴퓨팅 파워 확충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또한, 메타는 구글과 총 100억 달러 규모, 6년에 걸친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을 체결해 데이터 센터 인프라 확대에 필요한 외부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 계약으로 메타는 구글 클라우드의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고성능 서비스를 확보하며, AI 운영 최적화에 나섰다. 하지만 동시에 AI 부서 내 팀 간 이동 제한도 도입하는 등 내부 조직 안정화에도 주력하고 있다.
왕은 “메타는 메타 슈퍼인텔리전스 랩에 지속해서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강조하지만, 채용 동결과 조직 개편은 범용 인공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실현을 위한 전략을 재조정하는 과정으로 평가된다. 최근 메타 내부에서 일부 고위급 인사의 이탈 조짐도 포착되며, AI 경쟁 심화와 내부 조직 변화가 동시에 진행 중임을 보여준다.
빅테크 전문가들은 "메타의 이번 대규모 투자와 조직 개편은 AI 분야에서 세계적인 패권 경쟁이 한층 가열되는 시점에서 나온 것으로, 향후 AI 기술 발전과 시장 지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클 전망"이라며 "다만, 초고가 인재 확보 전략에 따른 비용과 조직 내 혼란이 단기적으로 성과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