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AtoZ] 스웨덴 에스란지 우주센터, 유럽 우주산업 중심지 '급부상'…2026년 궤도 발사 예고

  • 등록 2025.09.01 21:47:17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스웨덴 북부에 위치한 에스란지(Esrange) 우주센터가 유럽 우주 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1966년부터 운영해온 이 시설은 2023년부터 유럽 최초로 소형 위성 궤도 발사능력을 갖춘 스페이스포트로 진화하며, 2026년부터 본격적인 궤도 위성 발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움직임은 미국에 치중된 유럽 우주발사 의존도를 극복하려는 대륙 차원의 중대한 전략적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Swedish Space Corporation, Regional Gateway, kfgo.com, News Powered by Cision, European Spaceflight, ArcticToday, impulso.space, ArianeGroup등에 따르면, 에스란지는 현재 스웨덴 우주공사(SSC)가 관리하며, 기존에 소리측정로켓과 고공풍선 연구 등 과학적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2023년 신설된 ‘컴플렉스 3C’ 발사대는 궤도 발사를 지원하는 최첨단 인프라를 제공하며, 미국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Firefly Aerospace)와의 협력 체결로 2026년 알파(Alpha) 로켓의 첫 시험발사가 예정돼 있다.

 

알파로켓은 최대 1000kg 소형 위성을 태양동기궤도에 안착시킬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해, 유럽 내에서 경쟁력 있는 위성 발사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한국의 페리지 에어로스페이스(Perigee Aerospace)도 2026년 에스란지에서 블루웨일 1(Blue Whale 1) 로켓 발사를 추진 중이다. 이 2단계 재사용 가능 로켓은 최대 200kg의 탑재체를 태양동기궤도에 보내며, 발사비용은 300만 달러 이하로 경제적이다. 탄소 배출이 적은 메탄과 액체산소 연료를 사용해 친환경성도 갖췄다.

 

에스란지는 북극권 인근의 5200㎢에 달하는 광범위한 회수 구역과 30여개의 안테나를 활용해 극궤도 위성 통신에 최적화된 지리적 이점을 지닌다.

 

스웨덴 우주공사 관계자는 “저궤도 위성 대규모 군집체 시대를 대비해 위성 인프라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에스란지는 유럽의 우주 접근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핵심 거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유럽 우주 발사 역량은 미국과 현격한 격차를 보였다. 2024년 미국은 154회의 궤도 발사를 진행한 반면, 유럽은 단 3회에 불과했으며, 우주 독립은 이제 유럽의 전략적 과제가 된 상태다. 이에 따라 유럽 항공우주기업 아리안그룹은 에스란지에 ‘테미스(Themis)’ 재사용 로켓 시험기체를 배치, 2025년 말 수직 착륙 테스트를 계획하며 미국 스페이스X와의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한편, 지정학적 이유도 이 같은 움직임에 동력을 제공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에 더해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우크라이나 등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유럽은 자체적 우주 자주권 확보를 더욱 절실히 요구받고 있다.

 

이에 에어버스, 탈레스, 레오나르도가 참여하는 ‘프로젝트 브로모’ 동맹 구상이 진행 중이며, 이는 유럽 우주산업 역량을 집중시켜 스페이스X에 대응하려는 시도다.

 

결국 에스란지는 유럽 대륙 내에서 규제 승인, 검증된 발사체, 전략적 기업 파트너십 등 모든 준비가 갖춰진 상태로, 2026년부터 유럽 우주 독립의 상징적 출발점이 될 전망이다. 이는 유럽이 향후 5~10년 내 미국, 중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우주 경쟁력을 갖추는 데 있어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윤슬 기자 newsspace@naver.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