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칼럼] 늑대의 날(8월13일)…로맨티스트·리더십과 집단생활·하울링과 치악력·개와 늑대의 시간·옐로스톤 미루나무

  • 등록 2025.08.13 18:28:22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매년 8월 13일은 ‘국제 늑대의 날(International Wolf Day)’로, 늑대가 생태계에서 맡는 중요한 역할과 보호 필요성을 알리는 날이다. 2003년 제정된 이 날은 전 세계적으로 늑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고, 이들의 사회적 특성과 생태적 중요성, 그리고 보전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기념된다.

 

늑대는 북반구를 중심으로 약 25만 마리의 회색늑대와 희귀한 에티오피아 늑대 등 여러 종이 존재한다. 이들은 알파 수컷과 암컷이 우두머리를 맡는 무리를 이루며, 각자의 하울링 소리는 사람의 지문처럼 고유해 서로를 식별한다. 늑대 무리는 가족 단위의 사회적 단위로서, 상호 협력해 사냥, 영역 방어, 새끼 양육을 담당하며 높은 사회적 유대와 민주적 의사소통 체계를 가진다.

 

특히 늑대는 매우 강력한 치악력(최대 약 1,200psi)을 가지고 있어 두터운 피부와 뼈를 뚫고 대형 초식동물을 사냥한다. 셰퍼드 개의 치악력(약 750psi)보다 거의 두 배 강하며, 덩치 역시 최대 86kg에 달하는 개체가 발견된다. 한편, 베르그만의 법칙에 따라 추운 북부 지역 늑대가 더 크고 강하다. 또한, 늑대는 시속 60km 내외의 속도와 뛰어난 지구력으로 협동 사냥을 수행한다.

 

늑대의 임신 기간은 약 2개월이며, 한 배에서 5~11마리 새끼를 낳는다. 야생에서의 수명은 대략 6~8년이나, 동물원 등 관리하에선 12~16년까지 살기도 한다. 넓은 활동 영역(평균 35㎢) 내에서 끊임없이 먹이를 찾아 이동한다.

 

역사적으로 늑대는 생태계의 최고 포식자로서 초식동물 개체 수 조절과 질병 확산 방지 등 생태계 균형 유지에 핵심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인구 증가와 무분별한 사냥,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아 유럽과 미국에서는 거의 멸종 직전까지 갔으며, 최근 보전 정책과 재도입 프로그램으로 일부 지역에서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었으나 남한에서는 이미 멸종한 것으로 추정되며, 복원 노력도 진행 중이다.

 

늑대는 문화적으로도 다양한 이미지로 존재한다. 동양에서는 여우나 암컷 캐릭터로, 서양에서는 수컷 늑대가 주로 악역으로 묘사되며, 동화나 신화에서 교활하고 무서운 존재로 그려졌다. 그러나 실제 늑대는 강한 부성애, 평생 일부일처제, 뛰어난 지능과 사회적 협력성을 지닌 생명체이다.

 

옐로스톤 국립공원 사례에서는 늑대의 복귀로 엘크의 움직임이 변화해 식생이 회복되는 등 생태계 연쇄 효과가 확인되었다. 늑대가 포식자로서 생태 교란을 조절하며 자연환경의 균형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과학적 근거가 지속해서 축적되고 있다.

 

늑대 울음소리인 하울링은 무리 간 소통과 위치 알림, 위협 과시 등 다양한 기능을 하며, 밤에 들리는 소리로 인해 인간에게 불길한 징조로도 인식되어 왔다. 늑대는 후각을 통한 영역 표시와 사회적 신호 전달, 복잡한 의사소통 방식을 갖추고 있다. 또한 배뇨 행동(RLU)은 지배 우위 표시로 사회적 역할도 크다.

 

최근 연구에서는 늑대의 사회적 행동, 공격 후 화해, 놀이를 통한 관계 형성 등 고도의 협동과 사회적 유연성이 밝혀져, 개와 인간 간 친밀한 관계 발전의 진화적 배경으로 평가받는다.

 

국제 늑대의 날은 늑대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깨고, 생태계 수호자로서의 늑대의 존엄과 역할을 재조명하는 계기다. 인간과 늑대가 공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환경 보전을 모색하며, 전 세계적으로 늑대 보호와 이해를 촉구하는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종화 기자 macgufin@empas.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