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국산항공기 후속군수지원사업 수주 ‘1조원 시대’ 돌입…8037억원 수주와 글로벌 PBL 확대 박차

  • 등록 2025.10.17 09:51:53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방위사업청과 8037억원 규모의 성과기반 군수지원(PBL, Performance Based Logistics) 계약을 체결하며 국내 후속군수지원사업 연간 수주 1조원 시대를 열었다.

 

이번 사업은 육군이 운용하는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KUH-1)’, 공군의 고등훈련기 ‘T-50’, 기본훈련기 ‘KT-1’ 등 국산 항공기 3종을 대상으로 하며, 올해 10월부터 2030년까지 5년간 진행된다. KAI는 이 사업을 통해 국내외 군수지원 및 성능개량 시장에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하게 됐다.​

 

수주 내역과 PBL의 의미

 

세부적으로는 KUH-1 2차 PBL 4486억원, T-50 4차 PBL 2853억원, KT-1 4차 PBL 698억원 등 계약이 이뤄졌으며, 2025년에만 추가로 소형무장헬기(LAH) 1128억원 2차 양산 PBL 사업까지 합산, 연간 후속군수지원사업 수주액이 1조원을 돌파했다.

 

PBL은 전력화된 무기체계의 유지·정비 및 부품 공급을 제작업체가 전담하고, 항공기 가동률 등 성과지표에 따라 성과금 또는 페널티가 적용되는 선진 군수지원 체계다. 이는 미군 등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통합 후속지원 방식으로 효율성, 신속성, 비용절감 측면에서 군 운영에 큰 기여를 한다.​

 

국내 시장 성장세…‘후속’의 경제적 파장


국산 항공기 후속군수지원 및 성능개량 사업은 운영 기간이 30~40년에 달하며, 후속·유지비용이 초기 도입 비용의 2~5배에 이를 정도로 매출효과가 크다. 올해 KAI는 전체 1000여 대에 달하는 KAI 개발 항공기의 후속지원 시장을 주요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으며, 동종 사업의 지속적 확장을 통해 대한항공 등 민간 업체와의 경쟁력도 제고하고 있다.

 

특히 군수지원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세계적으로 4~6%에 달한다는 군수시장 통계도 있다. KAI의 PBL 사업이 연간 1조 원 규모로 성장한 것은 단일 항공기 후속수주 기준 아시아 최대 수준이다.​

 

글로벌 시장 진출 및 해외 성능개량 사례

 

KAI는 이라크·필리핀·인도네시아 등 국산 항공기 수출국을 대상으로 해외 PBL 및 성능개량(CLS) 사업도 적극 확대 중이다. 2022년 이라크 T-50IQ CLS 사업, 2024년 필리핀 FA-50PH PBL 계약, 2025년 인도네시아 KT-1B 훈련기 성능개량사업 등 해외수주 누적액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PBL 방식의 해외사업 확장은 KAI의 수익 안정성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해외무대에서의 성능개량 및 군수지원사업 비중은 향후 전체 방산 수출의 20~30%까지 증가할 것으로 KAI 내부는 전망한다.​

 

체계적 군수지원체계·운용비 절감 효과


KAI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KUH-1, T-50, KT-1 계열 항공기 운용에 필수적인 수리 부속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효율적 군수지원체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항공기 운용 현장에서 가동률 제고와 운용유지비 절감, 정비 효율성 개선 등 실질적 효과가 기대된다.

김시민 기자 newsspace@naver.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 법률자문 : 이수동 변호사(법률사무소 이수)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